[ 공유 자료실 ]
수능특강 9강 5번 지문 '마지막 부분'에 대한 보충설명입니다 'jestttt'님께서 조언을 해주셨습니다.

수능특강 9강 5번 지문의 마지막 부분인

'motivation of unconscious behaviors'에 대한 보충해설을 'jesttttt'님께서 제공해주셨습니다. 

이 지문의 마지막 부분이 사실 난해하였습니다만, 관련분야 전문식견을 지니신 'jesttttt'님의 고견을 통해 보완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다음은 jesttttt'님의 추가해설 원글입니다.

1.

인간의 삶, 즉 행동과 사고(=반응/판단)에 있어서의 뇌의 기능성에 대한 관점변화를 말해주고 있습니다. 

과거 자극 또는 경험에 의해 만들어진 정보에 대한 뇌의 기능과 영향은 거의 없다고 바라보는 방식이 Black-box Theory

반면에 인간은 뇌의 무의식 판단에 의해 외부의 자극(=경험/상황)이 해석되고 정의되지며 그 결과에 의해 행동하고 판단하며 삶을 산다고 생각하는 Cognitive theory 

다시말하자면, 수동적 기능의 우세성이 능동적 기능의 지배로 뇌가 인식되어짐에 따라 인간의 무의식적 행동/판단을 이끄는 동기부여가 무엇인지를 좀 더 자세하게 알게됩니다. 

이처럼 과학적 진보는 같은 대상을 두고 다른 방식으로 이해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렇다고 나중에 나는 접근 방식이 절대성을 가지고 있는다 뜻을 내포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2.
자연과학의 진보와 발전에 비해 사회과학은 역동적인 변화가 없는건 사실이나 
그렇다고 진보가 없는건 아니다라는 부분에 대한 예시 내용입니다. 

PS. 부족하나마 과학분야에 대한 정보를 조금 가지고 있으니 내용 설명 필요하신 부분이 있다면 
도울수 있는 기회를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